제자리에서 최선다하면 꽃이 피고 향기 납니다”-
- 돈 명예 권세 실체없는 꿈 …자기 찾는게 인생 -
송월스님
여러분은 번뇌를 어떻게 치유하고 있습니까. 쉬운 일은 아니죠.
자기에 걸맞는 수행의 방편을 찾다 보면 틀림없이
자기의 근기에 맞는 방법이 있을겁니다.
그러나 흔들리는 마음을 자기 자신 외에는 어느 누구도 잡지
못한다는 것을 자신이 먼저 인식해야 합니다.
현대사람들이 자기를 모르기 때문에 점집을 찾고 스님을 찾아
‘앞으로 어떻게 되겠습니까’라는
어리석은 질문을 하게되는 것입니다.
모두가 자기 마음의 그 무엇을 찾지 못해서 그렇죠.
마음에 잡념이 많으면 어둡기 마련입니다.
망상심이 죽 끓듯 하게 되는 것이죠.
중생심에는 1찰라 안에 5백 생멸(生滅)이 있습니다.
백지 5백장을 쌓아놓고
송곳으로 꿰뚫을 때 종이한장 지나는 것을 1찰라라고 합니다.
이렇듯 짧은 순간에 수없는 생각이 생겼다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그 생멸심이 없으면 마음이 환해지고, 자기를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생멸심을 없애려면 참선, 주력, 염불 등
수행정진을 열심히 해야만 합니다.
근기에 따라 참선을 하는 사람, 염불하는 사람,
주력하는 사람 등으로 나눠지 듯 수행정진의 방법이 달라지겠죠.
그렇듯 자기 근기에 맞는 각자의 수행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가 불법을 믿고 배우는 까닭은 우리 스스로의 성품을
확철(廓徹)하게 보고 밝혀서
부처를 이루자는데 있습니다.
혹자는 ‘부처님은 거룩하신 분인데
내가 감히 어떻게 부처(깨달음)를 이루랴’라고 생각하지만
그런 중생심은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그런 마음은 중생이라는 굴레에
또 하나의 굴레를 씌우는 것과 같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모든 중생에게는 불성(佛性)이 있어서
누구든지 다 불도(佛道)를 이룰 수 있다”고 가르치셨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자기 자신이 자기
삶의 주체자임을 깨달았을 때만이 가능합니다.
그 주체자는 때때로 헛된 이익을 추구하느라 괴로움을 당하죠.
지금 여기에 모인 여러분들 대개가 그렇지 않습니까.
나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여러분, 이제 모든 잡념·번뇌를 끊어버리고 수행정진해 보세요.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밝혀 보세요.
욕심을 버리고. 무량광대한 불법대해(佛法大海)에
나라는 고집스런 욕심의 뿌리를 세우려 한다는 것은
스스로 괴로움을 짓는 일과 같습니다.
그대로 두면 저절로 넉넉해지고 물흐르는대로 흘러가는데,
왜 헛되이 명리(名利)를 구하고 권세를 탐합니까.
더 잘 되려다 오히려 고(苦)를 부르게 되는 불상사를 초래하게 됩니다.
모든 일의 이치는 흐르는 물처럼 자연스러워야 합니다.
잡으려고 가면 갈수록 멀어질 뿐입니다.
그러다보면 마음이 답답해지고,
원래의 목표도 흔들리게 되죠.
모든 일의 이치는 순리대로 흘러가야 하는 것,
그것마저도 마음 밖으로 놓으면 오히려
그 목표가 제 스스로 찾아 오는 이것이 묘법입니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가을 날의 정취를 찾아 길을 떠났다가
결국 찾지 못하고 집에 돌아오니 싱그런 여름이 가고,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이 와 있더랍니다.
찾으려 애를 쓰면 구해지지 않고
오히려 지금의 자기 자리에서 묵묵히 최선을 다하고 있다보면
그 자리에서 봄을 보내고 여름을 맞아,
가을의 시원한 바람에 심신을 달래는 것,
그것이 자연의 이치입니다.
깨달음이란 어디에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내 스스로가 깨달음으로 피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참된 수행자는 깨달음을 얻으려 연연해
헛된 욕심을 부리지 않습니다.
깨달음에 대한 집착도 집착이기 때문입니다.
수평선이란 따라가면 또 그 만큼 멀어져서
언제나 ‘저기에’ 있을 뿐 ‘여기에’ 있을 수 없습니다.
이런 이치를 모르는 사람은
하늘의 구름을 쫓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것입니다.
우리가 세상사를 살면서 돈과 권세와 쾌락을 쫓는 것은
허망한 꿈을 꾸는 것과도 같습니다.
꿈에서 깨어보면 꿈 속에서 꾸었던 온갖 것들은
다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리고 허무하기 이를 데 없지 않습니까?
그것은 헛된 욕심으로 존재하지도 않는 허망한 것을 쫓았기 때문이죠.
그런데도 불구하고 욕심을 부리는 사람은
자기 내부의 뿌리는 어디에다 내팽개쳐 버렸는지,
꿈이 꿈인지 모르는 까닭으로 번민합니다.
여러분 지금의 꿈에서 깨어나세요. 쾅!쾅!쾅!
그 쾌락의 꿈과 고통의 꿈에서 깨어나서
한바탕 껄껄 웃고 사려깊은 눈으로
이 세계의 참모습을 보며 살아야 합니다.
불법(佛法)은 바로 그것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자기가 본래 갖고 있는 맑고 깨끗한 근성의
부처자리를 참된 수행정진 없이 욕심부려
추구하기 보다는 우선 여러분께서 지금 하실 수 있는 작은 일부터
작다 생각지 말고 최선을 다해 정진하십시오.
한마디만 더 하겠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며 붙들고 사랑하는 것이
다 한바탕 꿈이라면 어떠하겠습니까?
지금 여러분들이 겪는 갖가지 고통과 어려움 또한
그처럼 실체가 없어서 텅빈 것이라면 어떻겠습니까?
여러분 자신이 그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면
큰 자유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좋다는 생각 뒷면에는 싫다는 마음이 끈적끈적 붙어 있고,
싫고 지루한 마음이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좋다, 나쁘다는 마음의 그것까지 벗어나서 바르게 세상을 보고,
바르게 세상을 살아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마음의 눈을 떠 보세요.
참 요즘은 험악한 일이 빈번히 여기저기에서 일어나는걸 볼 수 있죠.
다른 이들이 아전인수(我田引水)라 손가락질 할 지 모르겠지만
세계평화를 위해 불교가 널리 퍼져야 됩니다.
과거를 모르기 때문에 현재의 잘못을 되돌아 보지 못하고,
미래를 모르기 때문에 아이를 내다 버리고,
부모를 살해하고,
사기를 치는 범법(犯法)행위를 저지르게 되는 것입니다.
선이든, 악이든,
선으로 주면 선으로 받고 악으로 주면 악으로 받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불가에서 말하는 인과와 인연의 이치죠.
석가세존의 전생담 중에 칠경화(七莖花)얘기가 있습니다.
얘길 하자면,
석가세존께서 선혜라는 선인(仙人)으로 보살행을 닦던
인행시(因行時)에 보광여래께서 오신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선혜선인은 여래께 꽃을 공양하려고 꽃을 구하러 다녔으나
그 나라의 왕 역시 여래께 꽃을 공양하기 위해
나라안의 꽃을 모두 사들였기 때문에
꽃이 동이 나서 살 수가 없었습니다.
선혜선인은 수소문 끝에 구리선녀에게
7송이의 꽃(七莖花)이 있다는 말을 듣고 꽃을 사자고 청했으나
팔수 없다고 거절을 했습니다.
난감해진 선인은 여래에게 공양을 하려하니
제발 꽃을 팔라고 간곡하게 청을 하자,
그 정성에 감동해서 자기와 결혼하는 조건으로 꽃 5송이를 주고,
2송이는 자기 몫으로 여래에게 공양을 올려달라면서
그 7경화를 내 주었다고 합니다.
이후 두 사람은 정반왕의 아들과 야소다라 공주로
다시 만나게 된 것입이다.
이렇듯 사람은 전생의 인연으로 다시 만나게 되고,
선업(善業)을 악업을 이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 이치를 알고 좋은 몸을, 마음을 가진 사람으로 태어나기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해
과거·현재·미래를 청정하고 선업을 지어야 하는 것이죠.
불교를 알면 이 세상에 행법(行法)이 없어도 살 수 있습니다.
언젠가 62가지 기술면허증을 취득한 최모씨라는 사람이
해인사에 찾아왔습니다.
그 사람은 다른 종교를 믿고 있었습니다.
그는 나에게 “스님 궁금한게 있어 왔습니다.
어떻게 하면 마음에 기둥이 생기겠습니까?”라고 묻더군요.
그래서 “그건 나에게 묻지 말고 자기에게 물으시오” 했습니다.
자기가 자기자신을 모르는데 어디가서 무엇을 얻을 것입니까?
자기 자신을 스스로 아는 사람이 가장 똑똑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모든 일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이죠.
반대로 자기를 모르는 사람이 가장 어리석은 사람입니다.
부처가 그래서 부처가 아니겠습니까.
나는 오늘 여기 모인 대중들에게 자기 자신을 알려고 노력하고,
정진하는 것이 이 세상을 살아 가는데
가장 중요한 수행이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자기 자신을 찾으려 노력하는게 바른 인생입니다.
그래야 과거·현재·미래를 바로 살 수 있으니까요.
내 몸, 손, 발은 부모에게 받았지만
자기 마음은 자기가 만드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기가 우주의 주인공인 것이죠.
자기 자신은 어디에 있습니까?
생활을 떠나서 불법을 따로이 구하지 말고,
불법을 잃고 따로이 그 어떤 것이 있다고 결코 믿지도 말고,
오만하지도 마십시오.
살아가는 이 모든 것이 곧 불법입니다.
우리가 생활불교! 생활불교! 구호처럼 많이도 외치죠.
자기의 생활을 떠난 불교는 한낱 허상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수행자도 불법을 생활에서 구하고 펼쳐야 합니다.
그러나 그 생활불교라는 것은 조석예불 잘 모시는데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생활을 불교식으로 바꾸고 작지만 깊이 깨닫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생활에서 펴 나가는 것입니다.
자기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면
절로 꽃이 피고 향기가 나게 됩니다.
보살님들, 눈을 감아 보세요.
그리고 숨어있는 자기 자신을 느껴보세요.
오늘 여기 모인 대중들 모두 “어떻게 하면 잘 살겠습니까?”라는
의문을 품은 얼굴만 하고 있지 말고,
그 생각 자체부터 떨쳐 버려보면 어떨까요.
모든 근심과 공포와 번뇌는
거짓 나를 고정불변한 것으로 착각해서 생겨나는 것이니
항상 나를 계발하려고 정진하세요. 참선을 하든,
염불을 하든 자기의 근기에 따라 쉬지 말고 정진하십시오.
도(道)에는 문이 없습니다.
어떤 스승도 여러분에게 듣기만 해도
부처님의 지혜와 혜안을 갖추는 법문을 들려주지는 못합니다.
지금 내가 여러분들에게 1시간 넘게 얘기하고 있는 것도 말일 뿐입니다.
귀없는 귀로 들으세요.
그리고 느껴보세요.
선업이 아름다운 인연을 낳는다는 걸 명심하시고.
*모셔온글*
솔향기 풍경소리
'•스님법문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을 뜨고 귀를 열어 (0) | 2011.08.11 |
---|---|
물질 명예 끄달리지 말고 마음자리 찾으십시오 (0) | 2011.08.11 |
타력신앙은 불교아니다 (0) | 2011.08.11 |
잘못된 기도 (0) | 2011.08.11 |
내 마음의 고향으로 돌아가자 (0) | 201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