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사에 마음을 쓰지 말라 주변사에 마음을 쓰지 말라 참선하는 납자는 시를 짓고 노래 부르며 글쓰기를 생각하는 일을 가장 조심해야 한다. 시나 노래로 대가가 되면 승려시인 아무개라 불리우고, 문장력이 뛰어나면 글 잘하는 아무개 스님이라 불리게 되나 참선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일이다. 마음에 맞거나 거슬리는 바깥 경.. • 참 선 경 어 2011.08.25
참선 중에는 앉아 있음도 잊어라 참선 중에는 앉아 있음도 잊어라 참선하는 중에는 걸어가도 걷는 줄을 모르고 앉아 있어도 앉은 줄을 모르니, 이것을 화두가 현전한다 고 말한다. 의정이 깨어지지 않으면 몸과 마음이 있는 줄도 모르는데 하물며 걷고 앉는 일을 의식하겠는가. 모셔온글 • 참 선 경 어 2011.08.25
간절하게 참구하라 간절하게 참구하라 참선하는 데 있어서는 간절함 이라는 한마디가 가장 요긴하다. 간절함은 무엇보다도 힘이 있는 말이니 간절하지 않으면 게으름이 생기고, 게으름이 생기게 되면 편한 곳으로 내쳐 마음대로 놀게 되며 못할 짓이 없게 된다. 만일 공부에 마음이 간절하면 방일할 겨를이 있겠는가. 간.. • 참 선 경 어 2011.08.25
공부로는 도를 깨칠 수 없다는 사견을 조심하라 공부로는 도를 깨칠 수 없다는 사견을 조심하라 요즘 삿된 선사가 납자들을 잘못 가르치는 일이 있다. 그들은 깨치는 길은 공부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옛 사람들은 한번도 공부해서 도를 깨친 일은 없다 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이런 말은 가장 해로와서 후학을 미혹케 하여 쏜살같이 지옥으로 끌.. • 참 선 경 어 2011.08.25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 참선할 때에는 알음알이를 가장 두려워해야 한다. 마음을 여러 갈래로 치닫게 하면 도(道)와는 점점 멀어지게 되니, 그런 식으로는 미륵이 하생할 때까지 해보아도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만일 의정이 문득 일어난 납자라면 허공 속에 갇혀 있어도 그것이 허공인 줄 모르고 또.. • 참 선 경 어 2011.08.25
언어 문구를 배우지 말라 언어 문구를 배우지 말라 참선하는 납자는 문구를 따져 연구하거나 옛사람의 말씀이나 외우고 다녀서는 안된다. 이러한 일은 무익할 뿐 아니라 공부에 장애가 되어서 진실한 공부가 도리어 알음알이로 전락해 버린다. 이러고서는 마음의 움직임이 완전히 끊긴 자리 에 이르려 한들 되겠는가. 모셔온.. • 참 선 경 어 2011.08.23
세간법에서 자유로와야 한다 세간법에서 자유로와야 한다 참선하는 납자는 세간법에 집착해서는 안된다. 불법에도 오히려 조금이라도 집착해서는 안되거 늘 하물며 세간에 매달려서야 되겠는가. 만약 화두공부가 제대로 되면 얼음을 뒤집어써도 차가운 줄을 모르며, 불을 밟고 가도 뜨거운 줄을 모르며, 가시덤불을 지나가도 걸.. • 참 선 경 어 2011.08.23
본체를 보아야 선정에 든다 본체를 보아야 선정에 든다 옛 선사는 복숭아를 따다가도 문득 정(定)에 들고, 호미로 밭을 매다가도 문득 정에 들었으며, 절의 자잘한 일을 하면서도 선정에 들었다고 한다. 그러니 어찌 한 곳에 오래 눌러앉아 외연을 끊고 마음을 일어나지 못하게 한 다음에야 정에 들었다고 하겠는가. 이를 곧 삿된 .. • 참 선 경 어 2011.08.23
선에서의 바른 믿음 선에서의 바른 믿음 이 공부는 교학과는 다르다. 그런 까닭에 오랫동안 대승을 공부해 온 사람도 선(禪)을 알지 못한다. 그러니 하물며 성문 연각을 공부하는 소승에 있어서랴! 3현 10성이 어찌 교(敎)에 통달하지 못했을까마는 오직 참선하는 일에 대해 설법할 때만은 그렇지 않아서 3현 보살은 간담이 .. • 참 선 경 어 2011.08.21
옛사람의 공안을 천착하지 말라 옛사람의 공안을 천착하지 말라 참선하는 납자는 옛 스님들의 공안을 알음알이로 헤아려 함부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비록 그런 식으로 하나하나의 뜻을 깨닫고 지나간다 하더라도 그것이 자기 공부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일이다. 그런 사람은 이것을 모르고 있다. 즉 옛 스님들의 말씀은 마치 큰 불덩.. • 참 선 경 어 2011.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