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본분의 일이 드러날 뿐 단지 본분의 일이 드러날 뿐 단지 본분의 일이 드러날 뿐 빛 밝히면 어둠 절로 사라진다 세간법을 분별하고 불법을 구별하려는 그러한 생각 때문에 법 제대로 못보는것 “만약 제가 애초부터 뱃길을 안내하면서 진창으로 잡아끄는 것과 같은 노파선(老婆禪)을 설했다면, 그가 안목이 열린 뒤에는 틀림.. • 서 장 2011.08.25
허망’알면 四苦서 해방 경계=허망’알면 四苦서 해방 번제형에 대한 답서 ‘경계=허망’알면 四苦서 해방 선어 알며 불사 행않으면 물속에 있으면서 목마름을 밥상 앞에 두고 배고픔을 호소하는것과 무엇이 다르랴 “보내주신 편지를 보니, 불사(佛事)는 행할 수 있으나 선어(禪語)는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셨더군요. 할 수 .. • 서 장 2011.08.25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다 탕승상에 대한 답서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다 마음의 숲을 베어버리고 더럽고 탁함 씻어내고 집착의 끈을 풀어버린다 “경전에서 말했습니다. ‘마음의 생사(生死)를 끊어 버리고 마음의 빽빽한 수풀을 베어 버리고 마음의 더럽고 탁함을 씻어 버리고 마음의 집착을 풀어 버린다.’ 집착하는 곳에서 .. • 서 장 2011.08.25
공부엔 반드시 뚫림의 체험 필요 공부엔 반드시 뚫림의 체험 필요 하나의 화두에 매달려 놓치지 않고 정진하면 생각의 장막 걷히고 새 길 뚫리기 시작 “정식(情識)을 부수지 못하면, 마음의 불이 활활 타오릅니다. 바로 이러한 때를 만나면 다만 의심하던 화두(話頭)를 드십시오. 예컨대 어떤 스님이 조주 스님에게 묻되 ‘개에게도 .. • 서 장 2011.08.25
진실과 허구는 不二의 관계 진실과 허구는 不二의 관계 마음 자체는 보고 확인하고 믿을뿐 까닭이나 원인 물을 수 없는 것 “장수(長水) 스님은 비록 경전을 강의하는 강사이긴 하나 다른 강사들과는 같지 않습니다. 일찍이 낭야의 광조 선사를 찾아뵙고 가운데에 부루나 존자가 부처님께, ‘깨끗함이 본래 그러한데 어찌하여 문.. • 서 장 2011.08.25
인연의 경계엔 좋고 나쁨이 없다 인연의 경계엔 좋고 나쁨이 없다 각기 달리 나타나도 다르지 않은 자리서 반응할수 있는 것은 바로 도를 배운 공덕 “평소에 도(道)를 배우려면 거슬리고 순조로운 경계를 모두 받아들여 이용해야 합니다. 거슬리고 순조로운 경계가 눈앞에 나타났을 때, 고뇌를 일으킨다면 평소에 이 도 가운데에서 .. • 서 장 2011.08.25
미리 예상하거나 추측하지 말라 미리 예상하거나 추측하지 말라 세간법과 불법 나눌것이 없지만 사람이 어리석어 불법은 보지 못하고 세간법만 보고있다 “편지에 보니 조심스럽게 이 한 개 큰 인연(因緣)을 다 밝히고 싶다고 하였더군요. 이미 이러한 마음을 먹었다면 무엇보다도 조급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조급하게 서둘면 오히.. • 서 장 2011.08.25
힘들여 머물지 말아야 한다 힘들여 머물지 말아야 한다 “생각을 잊는 것이나 생각에 집착하는 것이나 모두 잘못이니, 비유하면 칼을 휘둘러 공중에 던져서 손이 닿고 닿지 않고를 상관하지 않는 것과 같이 위험한 일입니다. 옛날 엄양 존자가 조주 스님에게 물었습니다.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을 때에는 어떻습니까?’ 조주 .. • 서 장 2011.08.25
모든 현상 빠짐없이 법의 ‘작용’ 모든 현상 빠짐없이 법의 ‘작용’ “매일 매일 인연(因緣)에 응하는 곳에서 바깥의 경계에 딸려 가지는 않는지, 쌓여 있는 문서를 바라보고도 여유를 가질 수 있는지, 사물과 만날 때에 사물에 부림을 당하지 않고 도리어 사물을 부릴 수 있는지, 고요한 곳에 머물러 망상(妄想)을 짓지는 않는지, 하나.. • 서 장 2011.08.25
마음은 인연따라 자유롭게 나타나 마음은 인연따라 자유롭게 나타나 “이 일은 선방 생활을 오래 하거나 선지식을 많이 찾아다닌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다만 한 마디 한 구절 아래에서 곧바로 계합하는 것을 귀하게 여길 뿐입니다. 진실을 말함에는 털 끝 만큼의 틈도 용납하지 않습니다. 어쩔 수 없이 ‘곧바로’ 라고 말하지만 .. • 서 장 201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