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 切 唯 心 造

스님은 "이것" 으로 갚는다.

불암산 2009. 5. 8. 22:27

      스님은 "이것" 으로 갚는다. 한 관리가 종을 사는데 쓰라고 금품을 시주하자 스님이 위산선사(771-853)에게 물었다. 스님:저 사람은 무엇을 위해 시주했을까요? (그대는 무엇을 시주할것인가? 그것이 더 급한 일인데) 위산: 속인이 복을 탐해서이다. (법을 믿는다면서 복을 구하는 것은 소탐대실小貪大失이라, 욕심 없이 보시해야 더럽힌 마음이 씻긴다) 스님:스님께서는 무엇으로 그에 보답하시렵니까? (설마 복을 빌어 주는 것은 아닐 테이지요?) 위산은 주장자로 법상을 두세 번 치고서는 말했다. 위산:이것으로 그에게 보답하려는데 되겠느냐? (법상을 치는 게 목탁을 치며 기도드리는 것인가? 속지 마시라.그뜻은 다른데 있느니, "그것"이 화두이라) 스님:그것이라면 무엇에 쓰겠습니까? (돼지목에 진주목걸이라?) 위산: 그대는 무엇이 불만인가? (복은 복대로, 업은 업대로 갈 뿐. 인연이 없는 중생이라면 부처님이라도어찌 할수 없는 법) 스님:저로서는 불만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대중의 일입니다. (각자의 일이 곧 모두의 일이라 어찌 외면하리오? 그러나 각자의 밥그릇은 스스로 씻어야지) 위산: 그대는 이미 대중의 것임을 알고 있는데, 다시 나에게서 무슨 보답을 기대하는가?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네가 다시관계할 필요가 있을까? 노장이 마음 에도 없는 말을 하시는군) 스님:저는 스님께서 대중의 것을 가지고 인사치레에 쓰시는 것을 의심하는것입니다 (발명은 하는 이의 몫이다. 자기 속에 있는 것이라도 못 스면 남에게 뺏기고 만다. 그래서 중생은 일생을 빈털터리로 사는 것이다) 위산:그대는 모르는가. 달마가 인도에서 오실때에도 이것을 가지고 인사를 차리셨다. 그대 또한 그 신표를 받은 주제가 아니더냐? ("이것"이 무엇인가? 달마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전한 "이것"이 무엇인가? 그것에는 대중의 것 따로 있고 조사의 것 따로 있는게 아니다. 깨달아 쓰는 사람이 주인이요 주인공이다.)

'•一 切 唯 心 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는 입이 없습니다 1  (0) 2009.06.15
깃발인가 바람인가?  (0) 2009.05.08
설거지나 해라  (0) 2009.05.08
일찍이 중생은 없었다  (0) 2009.05.08
괴로운 마음을 보여 다오   (0) 2009.05.06